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nglish essay
- generic algorithm
- HONEYMOON
- 안드로이드
- 필리핀
- C/C++
- english presentation
- 포인터
- 사진
- 사랑
- 영화
- English
- 회계
- poetry
- network
- 시
- Android
- 함수포인터
- 프로그래밍
- radar
- java
- 보라카이
- 문학
- 신혼여행
- Programming
- 책
- 돈
- Joe Satriani
- 영어
- STL
- Today
- 0
- Total
- 814,152
목록Engineering/Etc (7)
Humaneer.net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kcom78&logNo=110136439580 를 참고함. depmod는 centos 6에서 deprecated라서 dracut인가? 그 패키지를 설치함. 커널은 kernel.org에 stable이라고 되어있는 4.4 (ㅎㄷㄷ)에 도전. openssl이 설치되어있지 않아서 메이크도중 의존성 에러 발생하여 openssl-devel 설치함. 아직 컴파일 중이긴 한데 ... 거진 되는 것 같아보임. ㅋ
pgr을 돌아다니다가, 아래의 글을 발견하였다. http://www.pgr21.com/zboard4/zboard.php?id=bug&page=1&sn1=&divpage=1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60132 질문자가 남긴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main(void) { int iv[10] = {1,2,3,4,5,6,7,5,4,12}; vectorvec(iv,iv+5); vectornvec; vector::iterator iter=vec.begin(); const int val=5; while((iter=find_if(iter,..
쓸만한 윈도우용 공짜 에디터를 찾다가 결국 gVIM을 설치하게 되었다 -_-; 여기저기 검색을 해가며 내가 마음에 드는 세팅만 골라서 하였는데 단축키를 통한 BCC 자동 컴파일, 글자체 변경, 일부 윈도우 인터페이스의 적용 등등 그럭저럭 쓸만한 gVIM이 되었다. 세팅을 해가며 읔 나도 VIM 오타쿠가 되어가는 것인가... 하는 생각에 피식 웃음이 나온다.
멘토께서 검색을 하시다 DB에서 transaction, roll back, commit이 뭐냐? 라고 물어보셨는데 당최 기억이 하나도 나지 않는 것이었다. (사실 몰랐다고 함에 더 가깝다) DB수업을 거의 날로 들어먹었기 때문에 -_-; 아무튼 나는 학부 때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은 땡보로 낙인찍혀 가고있다. ㅋㅋ -_-; Transaction, Roll back and Commit 네이버 지식인 원문 : Click 은행 현금인출기(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과정을 생각해 봅시다. 현금인출을 하겠다고 기계에게 알려준뒤 현금카드를 넣어서 본인임을 인증받고, 인출할 금액을 선택하면 ATM 기는 돈을 내어줍니다. 이러한 거래에 있어서 지켜져야 할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기계의 오동작 등으로 인하여 전산상으로는..
원문 : http://proneer.tistory.com FootPrinting 풋프린트(footprint)란 발자국을 뜻하며, 풋프린팅(footprinting)은 그 발자국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해킹에서 풋프린팅은 공격할 대상의 정보를 모으는 방법 중 하나다. 즉, 사회 공학이라고 불리는 공격 기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이란 일반적인 사회 현상에 대한 연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친구들끼리 사용자 계정이나 패스워드를 필요에 의해서 주고 받거나 패스워드를 외우기 어려워 수첩이나 컴퓨터 옆의 어딘가에 적어놓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사회 공학이란 이러한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언뜻 생각하면 "그런게 무슨 해킹이야. 정말 해커라면 그런 ..
So Cool~! 사용법은 : http://gyuha.tistory.com/193 에서 참고함 package android.SocketTest; import android.app.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public class SocketTest extends Activity { @Override public void onCreate(Bundle icicle) { super.onCreate(icicle); setContentView(R.layout.main); Thread cThread = new Thread(new TCPClient()); cThread.start(); } }
'티저'라고 하면 신비주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대중들의 호기심을 끌어내는 것! 이라고 하면 될 듯하다. (Naver 지식인 원문보기) 'teaser'란 짓궂은 사람이란 뜻으로 소비자에게 매일 전달되는 신문이나 방송매체를 이용한 광고로 써 광고주나 제품을 일부러 숨긴 채 의외성으로 주목을 끌기 위해 만들어지는 광고이다. 주로 신 제품의 발매 시에 사용한다.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광고수법 중 하나. 광고를 하되 그 상품 자체는 감추어 두고 어떤 상품이 발매된다는 수수께끼 같은 광고를 함으로써 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관심을 갖게 한다. 화면의 왼쪽 절반은 가려져 있고, 이름을 알 수 없는 남자가 헤드폰을끼고 음반을 고르는 일에 열중하고 있다. 갑자기 가려진 화..